하천 계곡의 길이는 상류 부분뿐만 아니라 바다 쪽 끝 부분에서도 퇴적에 의해 길어진다. 유수가 호수나 바다에 도달하게 되면 유속이 감소하여 이때 운반되던 하중운 퇴적된다. 하천이 운반하던 대부분의 암설들은 하천 하구 부분에 있는 삼각주라고 하는 지형에 쌓인다. 델타라는 명칭은 이 지형이 그리스의 대문자 델타의 모양과 유사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전형적인 삼각형 모양은 삼각주에서 대체로 잘 유지되지만 다양한 모습으로 변형되다도 한다. 삼각주가 다양한 모습으로 변형되는 이유는 하천에 의해서 퇴적된 퇴적 물질의 양과 해류와 조류에 의해서 제거되는 물질의 양이 불균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하천의 유속이 느려지고 운반 능력과 하천의 최대 운반량이 모두 감소하여 하중위 상당 부분을 내려놓게 되면 하도의 일부는 그 퇴적물질로 인하여 차단되고 하천의 힘은 다른 새로운 유로를 만들어 가게 된다. 이후에 이 새로운 유로 또한 막히지만 동일한 과정이 반복하여 일어나며 하천이 지속적으로 흐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삼각주는 분류라고 하는 평행한 일련의 하천으로 구성되고 이 분류를 통해서 하천수는 바다로 유입된다. 상대적으로 조립인 물질은 하천이 물을 만나는 곳인 경사진 전면 퇴적층에서 즉시 퇴적된다. 전면 퇴적층은 홍수 기간 동안 얇은 수평층인 상부 퇴적층에 의해서 피복된다. 가장 크기가 작은 입자들은 물 위로 드러나는 삼각주 지역을 넘어서 대양의 기저층에 퇴적된다. 많은 충적 퇴적물과 충분한 물의 공급은 식생의 정착을 도우며 삼각주는 이를 기반으로 하여 더욱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천의 계곡은 하류 방향으로 신장된다. 세계에서 가장 큰 삼각주는 약 105,000 제곱킬로미터의 면적을 지니며 남아시아의 벵골만으로 유입하는 갠지스강과 브라마푸트라강의 퇴적에 의하여 형성된다. 메콩, 나일, 미시시피와 같은 많은 대하천의 하류에는 삼각주가 형성되지만 모든 하천이 그러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해안의 해류가 매우 강력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하천 하구에 삼각주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는 하천 퇴적물질이 휩쓸려 가게 되고 해안을 따라서 퇴적되거나 바깥쪽 외해에 퇴적되게 된다. 거의 모든 하천에서 유속과 유량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퇴적물질이 재배치된다. 충적 물질은 하천의 바닥이나 측면, 중앙 혹은 경사 변환점의 하부, 범람하는 지역이나 다른 다양한 장소 등 계곡 바닥 어느 곳에서나 퇴적될 수 있다. 퇴적의 이러한 과정을 지침 하는 일반적 정의이다. 유수가 빠르고 유량이 많으며 수위가 높은 기간에는 하상 물질이 제거되면서 하상 침식이 일어나고 그 물질은 하류로 이동한다. 특히 홍수가 지나간 뒤 수위가 낮은 기간 동안 하천의 유속은 느려지게 되고 퇴적물질은 하천의 바닥에 자리 잡게 된다. 그리고 그로 인해서 하도의 채워짐이 발생한다. 어떤 경우에는 충적 물질이 하천 바닥에 집적되며 하상의 고도가 상승한다. 하천 지형의 중요한 조합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퇴적 지형은 범람원인데 범람원은 고도가 낮고 거의 평탄한 충적 계곡 바닥을 말한다. 범람원은 주기적으로 홍수에 의해 침수되는 특징을 지닌다. 또한 때때로 범람원은 곡류 하천이 넓고 평탄한 계곡 바닥 부분을 통과할 때 형성되기도 한다. 하천 곡류의 잦은 유로 이동은 넓고 평탄한 계곡 바닥을 만든다. 이들 지역 대부분은 주기적인 홍수에 의해 남겨진 퇴적물질로 덮여 있다. 특정 기간 동안에는 하천이 이 평탄한 땅 중에서 극히 일부분만을 차지하고 있으나 홍수 시기에는 모든 계곡 바닥 부분이 물에 잠길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계곡 바닥은 범람원으로 적절히 정의된다. 범람원의 외곽은 주로 경사가 급한 사면에 의해서 경계를 이루지만 때때로 범람원의 평탄한 지형이 선 형태의 작은 단애들로 둘러싸이기도 한다. 계곡의 확장과 범람원의 발달은 상당히 먼 거리까지 일어날 수도 있다. 세계의 여러 대하천의 범람원은 너무도 넓어서 한쪽 끝의 단애에 서 있는 사람이 반대쪽 단애를 볼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범람원에서 나타나는 가장 특징적인 지형은 곡류 하도이다. 곡류 하천은 앞뒤로 유로를 이동시키며 때로는 휘어져 흐르는 곡류 부분을 확대시키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곡류부의 반경이 하폭의 2.5배 정도에 달하게 되면 곡류부는 더 이상 성장하지 않게 된다. 때때로 하도가 측방침식에 의해 이동하게 되면 곡류 하천의 곡류 부분은 옆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리고 곡류 부분의 목 부분을 통과하는 새로운 하도가 만들어지면서 새로운 곡류가 시작되기도 한다. 이때 과거 곡류 하도의 곡류 부는 절단 곡류라 불린다. 또한 하도의 절단된 부분은 일정 기간 동안 우각호로 유지된다. 여기서 우각호라는 이름은 구부러진 모습이 마치 황소를 묶는 데 쓰는 명에의 휘어진 부분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우각호는 이후 퇴적물질과 식생에 의해서 채워지고 우각 습지로 변화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곡류 흔적의 형태로만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게 된다. 하도 주변의 제방을 따라 범람원의 일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고도가 약간 높다. 홍수 기간 동안 하천이 범람하면서 유수가 하도를 벗어나게 되고 범람원 표면과의 마찰이 일어난다.
'지형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식과 침전, 동굴 지형 (0) | 2022.02.25 |
---|---|
미시시피 강 범람원의 특징과 하천의 회춘 (0) | 2022.02.24 |
두부 침식과 하천 쟁탈 (0) | 2022.02.24 |
침식 기준면과 경사 변환점 (0) | 2022.02.24 |
하천과 지질 구조, 하계 망의 유형 (0) | 2022.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