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면 류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과정이다. 지표면 류는 강우 강도, 강우 기간, 식생 피복, 표면의 성격, 사면의 형상 등과 같은 요소들의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이 특성은 비교적 단순하고 이해하기 쉽다. 반면에 하천 유수는 삭박의 한 과정일 뿐 아니라 경관을 구성하는 부분도 되기 때문에 보다 복잡하다. 지표면 류와 구분되는 하천 유수의 기본적인 속성은 하천 유수가 하도에 의해서 흐름이 제한되며 3차원 현상이라는 것이다. 어떤 하도에서든지 약간의 경사라도 존재하면 중력이 작용하여 물이 마찰을 극복하고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하천의 물은 정확히 직선상의 낮은 부분으로 흐르지 않는다. 하도의 측면과 아랫부분에서는 느리고 중앙 부분에서는 빠르다. 마찰 정도는 하도의 폭과 깊이 그리고 하천 아랫부분 표면의 거칠기 정도에 따라서 결정된다. 좁고 얕으며 거친 표면의 하도에서는 넓고 깊으며 부드러운 표면의 하천에 비해 하천의 흐름 속도가 느리다. 하도가 깊고 하상이 부드러운 경우에는 물이 평행한 경로를 따라 부드럽게 하류로 이동하는 층류가 나타난다. 난류 상황에서 일반적인 하천의 흐름은 물의 방향과 속도 차이에 의해 간섭을 받게 된다. 그러한 불규칙성은 어느 방향으로든 일시적으로 흐르는 흐름을 유발하는데 여기에는 위쪽으로 솟아오르는 것도 포함된다. 하천 유수에서 난류는 마찰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하고 유수 내 작은 흐름들 사이의 내부 전단력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하며 하도 아래 표면의 불규칙한 부분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하천의 유속 역시 난류의 발달에 기여한다. 유속이 빠른 하천의 경우에는 천천히 흐르는 하천보다 난류가 강하게 나타난다. 급류에서 나타나는 탁류와 마찬가지로 와류와 소용돌이들은 난류가 만들어 낸 특징적인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표면이 매우 평온하고 부드러운 모습인 하천의 경우에도 바닥 부분에서는 난류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난류는 다수의 소규모 흐름이 서로 간섭하기 때문에 상당한 양의 마찰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이 스트레스는 하천이 지니는 에너지를 상당 부분 소산 시킨다. 때문에 하도를 침식하고 퇴적물을 운반할 에너지는 감소하게 된다. 또한 난류는 하천 바닥에 존재하는 암석 물질을 들어 올리고 비집어 넓게 만들어 하천의 침식에 기여하기도 한다. 하천 유수의 불규칙성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나타나는데 그중에서도 하도 유형의 다양성을 보면 이를 가장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만일 하천류가 부드럽고 규칙적으로 흐른다면 하천의 하도는 직선이고 곧게 뻗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일정 거리 이상으로 하도가 직선을 이루면서 균일하게 흐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 대신 하도는 어느 정도 굽이치며 흐른다. 상당한 만곡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하천 하도의 유형의 직류, 만곡, 망류로 나눌 수 있다. 직류 하도는 짧고 흔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하부에 놓인 지질구조의 강력한 영향을 받는 곳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하도가 직선이라고 해고 흐름이 직선으로 흐르는 것은 아니다. 하고의 가장 깊은 곳에서 하천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그은 선을 최심 하상선이라고 부른다. 이 최심 하상선이 하천 양측 제방 사이의 중앙 부분을 직선으로 통과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하상의 양측을 오가면서 곡류한다. 최심 하상선이 한쪽 제방에 접근할 때 그 반대편에는 하천 충적물이 발견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직류 하도 역시 만곡 하도가 지니는 특성을 많이 갖고 있다. 만곡 하도는 직류 하도보다 더 흔하게 발견된다. 만곡 하도는 모든 종류의 기복 조건에서 굽이쳐 흐르는 하도들이다. 만곡 하도의 굽어진 정도를 만곡도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만곡도는 크지 않으며 불규칙적이다. 하천의 경사가 급하여 하천이 급경사부를 따라 흘러내릴 때에도 하천 하도는 만곡 된 형상을 지니게 된다. 또한 완만한 경사를 흐를 때에는 만곡도가 커지고 곡류하기 시작한다. 곡류 하도의 하천은 구불구불한 경로를 따라 흐르면서 상당히 비정상적으로 얽히고설킨 형상을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하천은 꼬이고 비틀리고 되돌아가기도 하며 휘어진 고리 모양을 만들기도 한다. 그리고 나중에 그 하도를 유기하고 새로운 하도를 만들어 경로를 다시 비틀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곡류 하도는 지면이 대체로 평탄하고 하천 경사가 완만한 곳에서 나타나며 하천에 의해 운반되는 물질은 세립 질의 뜬 짐이다. 곡류 하도의 위치와 모양은 끊임없이 변한다. 하도가 곡류하는 부분 바깥쪽에서는 침식이 발생하고 안쪽에서는 퇴적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로 인해 하도의 위치가 바뀐다. 곡류는 이러한 방식으로 범람원을 가로질러 가고 계곡의 하류 방향으로 이동하며 급류를 형성하고 때로는 하도를 급격히 변화시킨다. 망류 하도는 서로 꼬이고 연계되면서 모래나 자갈 혹은 다른 느슨한 암설로 된 낮은 바와 하중도에 의해서 분리되는 다수의 하도로 구성된다. 주로 망류 하도는 매우 평탄한 하천에 많은 양의 퇴적물이 공급되는 환경이나 건조 지역처럼 대부분 건조하다가 가끔 적은 유량이 나타나는 곳에 형성된다. 특정한 기간에는 망류 하천에서 실제 물이 흐르는 하도가 전체 하도 체계가 지닌 폭의 10분의 1 이내의 좁은 지역에만 분포한다. 그러다가 1년 안에 퇴적물이 덮여 있는 거의 모든 부분은 측방으로 이동하는 하도들에 의해서 다시 움직이게 된다.
'지형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식 기준면과 경사 변환점 (0) | 2022.02.24 |
---|---|
하천과 지질 구조, 하계 망의 유형 (0) | 2022.02.23 |
하천 체계와 하천의 침식과 퇴적 (0) | 2022.02.23 |
화학적 풍화 작용의 유형 (0) | 2022.02.22 |
기계적 풍화 작용의 유형 (0) | 2022.02.21 |